대학생 10명 중 7명은 한국 대기업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사회발전을 선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경제 전문 연구기관 다낭 크라운 카지노이 대학생 2,453명(대학시장경제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삼성·현대·LG·SK·롯데‘ 등 한국 대기업에 대한 인상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2,453명 가운데 51.3%인 1,257명이 ‘해외시장 개척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를, 23.2%인 569명은 ‘부와 일자리 창출로 사회발전을 선도‘를 각각 선택했다.
응답자 중 73.5%가 국내 대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마트·엑슨모빌·제너럴일렉트릭·제너럴모터스·씨티그룹‘ 등 글로벌 기업에 대한 인상은 50.0%가 ‘해외시장 개척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를, 29.9%가 ‘부와 일자리 창출로 사회발전을 선도‘라고 각각 답했다. 약 80%가 긍정적 인상을 선택해 국내 대기업 보다는 다소 높은 호감을 표했다.
한국 기업인에 대한 인상을 조사한 결과 ‘해외시장 개척 등 도전적 기업정신으로 부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응답이 788명 32.2%로 가장 높았다. ‘기업인정신을 발휘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가 765명 31.2%로 뒤를 이었다.
반면 ‘무분별한 사업 확장과 이윤추구로 자본 독식‘ 15.4%(378명), ‘부모에게 부와 기업을 물려받은 특권층‘ 16.9%(414명)로 각각 집계돼 한국 기업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표한 응답자가 32.3%로 나타났다. [KP통신 - KP News Agency]